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고급육으로 유통되는 육질등급이 <TEX>$1^{++}$</TEX>인 거세한우고기에 대하여 소비자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한국 소비자들의 관능특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한국 소비자들을 위한 요리방법 및 부위별 맛 예측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8-30개월령 거세한우를 도축한 후 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우둔, 양지 부위를 분리하여 전국 소비자 650명을 대상으로 탕, 그릴 및 구이형태로 각각 조리하여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탕 형태로 조리된 거세한우고기는 거주지역, 연령, 성별, 직업 및 10개의 부위에 대한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기섭취습관 및 숙성여부도 연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와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스테이크 형태인 경우 쇠고기에 대한 기호 성향이 거주지역, 숙성여부 및 부위가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수입 및 고기섭취습관 등도 연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 특성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구이 형태인 경우 거주지역, 연령, 직업, 가계수입, 고기섭취 습관, 숙성 여부 및 부위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 성향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또한, <TEX>$1^{++}$</TEX> 등급과 같은 최상의 육질등급을 받은 거세한우고기의 관능평가 결과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리방법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가 부위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가중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소비자들은 동일한 조건의 쇠고기일지라도 요리방법 및 부위에 따라 쇠고기 맛을 평가하는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위별 요리방법별 맛 예측모델을 확립한다면 한우고기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Korean consumers' palatability evaluation and to collect the sensory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prediction palatability model of Hanwoo beef. Ten cuts [Abjin (short plate), Bosup (top sirloin), Cheggt (striploin), Dngsim (loin), Guri (chuck tender), Hongduke (eye of round), Moksim (chuck roll), Sulgit (bottom round), Udoon (top round), Yangji (brisket)] were separated from 5 Hanwoo steer beef (28-30 months old) and prepared with the same manner for 3 different cooking methods such as boiling, grilling, and roasting. The cooked beef samples were served to 650 consumers recruited from Seoul, Joongbu, Honam and Youngnam locations and evaluated as tenderness, juiciness,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consumer living location, age, gender, occupation, monthly income, and cut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scores of sensory properties when steer beef were cooked as boiling cooking (p<0.05). The eating habit and aging of beef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tende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p<0.01) when beef were cooked as boiled. In grill cooking, living location, aging, and cut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ory properties of Hanwoo steer beef (p<0.01). When steer beef were prepared by Korean traditional roast cooking, consumer's sensory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living location, age, occupation, monthly income, eating habit of consumers, aging and beef cut (p<0.001). Also, results 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palatability scores of Korean consumers were decided with different contribution rate of tenderness, juiciness,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for beef cut depending on cooking methods. In conclusion, Korean consumers' palatability for Hanwoo steer beef were related to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sensory scores were different by cut and cooking methods.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