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ersonal Rapid Transit(PRT)는 대중교통중심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하지 못한 교통수단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설문 설계방법을 제시하고, PRT 잠재적 이용자들의 지불의사액(WTP: Willingness-to-pay)을 고려한 수단전환율 모형을 구축하여 이용경험이 부재한 사람들의 교통수단 이용선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구축된 수단전환율 추정모형을 PRT 도입이 논의 중인 송도신도시에 적용하여 PRT 이용수요를 예측하고, 요금수준에 따른 수단전환율의 변화를 기존 수단전환율 예측모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형적용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설문 설계방식은 교통수단 이용선호와 관련된 설명변수를 효과적으로 측정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요금수준에 따른 PRT 수단전환율 예측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형이 기존 모형보다 이용자가 느끼는 요금에 대한 저항을 현실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rsonal Rapid Transit(PRT) has emerged as a promising transportation mode for transit-oriented sustainable communities. In this study, an alternative design of questionnaire survey is proposed in order to capture traveler's perception of an unexperienced transportation mode. This study aims at predicting the mode choice diversion behavior of potential PRT users who do not have experience of using it previously, considering their willingness-to-pay.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predict an aggregate forecast of PRT patronage for the city of Songdo where PRT is considered to be constructed. For validation of the proposed model, the price elasticity of PRT demand was analyzed, compared with existing models.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osed design of questionnaire survey is able to capture respondents' attitude and perception to unexperienced transportation mode in an effective manner. Also, they show that the proposed diversion rate model is more realistic than existing models in explaining the effects of users' willingness-to-pay for predicting PRT patronag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