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한우 mt DNA 염기서열 가운데 <TEX>$tRNA^{Pro}$</TEX>와 <TEX>$tRNA^{Pre}$</TEX> 유전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D-loop 영역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한우의 염기변이 다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mt DNA의 D-loop 영역내 404번부터 15061까지 1142bp 크기의 염기서열 부위를 특이적인 primer를 이용하여 PCR로 증폭하였다. 한우의 mt DNA내 D-loop 영역에서 단일염기의 치환 및 삽입에 의해 총 24개의 polymorphic site가 확인되었다. 한우 mt DNA D-loop 영역 가운데 16042~16122번째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염기치환율이 다른 염기서열 영역에 비하여 약 50%를 점유하고 있었으며 이들 polymorphic site에서 16055, 16230 및 16260 번의 염기치환은 한우에서만 검출된 새로운 염기변이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한우 D-loop 영역내 특이적인 염기변이는 모계 및 세포질 DNA marker로서 한우품종을 특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Polymorphic site의 출현빈도는 169번째 염기가 81.3%로 가장 출현율이 높았고 다음으로 16302번과 16093번째는 56.3% 그리고 16042번와 16119번째 염기가 각각 50.0%와 43.8%의 치환율을 보였으며 나머지 14개 염기는 6.3%에서 25.0% 수준의 출현율을 나타냈다. 한우와 타 품종간의 유전적 근연관계를 추정한 결과 Bos taurus 계통의 유럽종과 유전적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고, Africa와 India의 Bos indicus 계통의 품종과는 상대적으로 근연관계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출한 mt DNA내 D-loop 영역의 염기서열 다형성은 한우집단의 유전적 변이성 추정과 모계유전 분석 및 나아가 경제적으로 중요한 형질들과의 연관성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sequences of the mt DNA D-loop region, including <TEX>$tRNA^{Pro}$</TEX> and <TEX>$tRNA^{Pre}$</TEX> and to analysis sequence variation polymorphism in Korean cattle. The resulting sequencies were compared with previously published sequences for other cattle breeds(GenBank J01394). The PCR was used to amplify an 1142bp between nucleotides 15061 and 404 within the D-loop region of mt DNA using specific primers. Korean cattle showed 24 polymorphic sites by nucleotide substitutions and insertions of single base pairs. About 50% of polymorphic sites were found in positions 16042 to 16122 with the most variable region. Among these polymorphic sites, variations at 16055, 16230 and 16260 bp were detected as new sequence variants in Korean cattle. These specific polymorphic sites have not been reported in the Japanese black cattle and European cattle. Therefore, mt DNA variants in the D-loop region may be used as genetic markers for specifying Korean cattle. The frequencies of positions 169, 16302, 16093, 16042, 16119 with a high level of sequence polymorphism were 0.81, 0.56, 0.56, 0.50 and 0.43, respectively. In comparison of genetic distances, Korean cattle showed the more closely to European cattle as Bos taurus than Bos indicus such as African and India breeds. In conclusion, these mt DNA sequence polymorphisms in the D-loop region for Korean cattle may be useful for the analysis of cytoplasmic genetic variation and associations with economic important traits and genetic analysis of maternal lineag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