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Glycidyl methacrylate(GMA)를 이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반응성 개질이 탄소나노튜브(CNT)의 존재 하에 배치 믹서에서 수행되었다. 투입된 CNT의 함량은 0 .25-1.5 w t%의 범위에서 변화되었다. 개질된 LDPE 수지의 열안정성과 GMA의 그래프트 효율은 CNT 함량이 1 w t% 범위 내에서 증가함에 따라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질된 수지의 그래프트 효율의 향상은 CNT와 결합된 LDPE의 라디칼이 CNT의 컨쥬게이션 구조에 의하여 안정화되는 효과로 해석되었다. 개질된 LDPE의 복합 점도 및 저장 모듈러스도 CNT의 함량이 1 w t%까지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양한 혼합 시간 및 회전 속도가 적용되었을 때, 그래프트 효율은 용융 공정에 부여된 혼련 시간보다 모터 속도에 의하여 더 민감하게 변화되었으며, 이는 CNT가 동반되는 LDPE와 GMA의 개질 공정에서는 CNT의 균일한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혼련의 중요성을 반영한다.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