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거대쌀눈의 특성과 검정쌀 그리고 찹쌀의 특성을 보유한 눈큰흑찰의 침종과 발아 그리고 기질로 글루탐산을 처리하였을 경우의 가바를 포함한 주요 성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싹 발아 길이를 기준으로 눈큰흑찰의 가바 함량은 싹 길이가 5~10 mm인 stage-3에 93.9 mg/100 g으로 최고를 보였고, 대량 제조 조건에서는 최고 126.9 mg의 가바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침종에 의한 성분 분석에서는 72시간 침종에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그리고 가바 함량이 가장 많이 축적됨을 확인하였다. 3. 글루탐산 탈탄산효소의 작용에 의한 가바 함량 증가는 현미와 쌀겨 모두에서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고, 눈큰흑찰 현미와 쌀겨의 경우 가바 함량이 각각 354.6 mg/100 g과 726.4 mg으로 현미와 쌀겨에 비해 각각 14배와 3배 함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눈큰흑찰의 발아와 침종에 따른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뇌의 대사전달 물질의 조정 작용과 고혈압 그리고 스트레스 조정 기능이 있는 가바의 함량이 침종과 발아에 의해 일반 쌀에 비해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나 글루탐산탈탄산 효소의 작용에 의한 눈큰흑찰의 현미와 쌀겨의 가바 생성은 현재까지 보고된 그 어떤 쌀품종에서 분석된 가바 함량보다도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어 향후 기능성 발아현미 가공을 위한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침종 조건은 가바 함량이 증진된 밥의 제조에 활용이 가능하고, 일본에서 시판되는 가바 건강식품의 용량과 맞먹는 함량을 지닌 눈큰흑찰을 이용한 가바쌀 생산과 가바의 효능에 의한 혈압강하, 체중조절, 알코올 관련 질환 등에 효능이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assessed the GABA accumulation and other components after the 'Nunkeunhukchal (BGE)', 'Josanghukchal (BR)', and 'Ilmibyeo (IB)' grain was soaked in water for 24, 36, 48, 60, 72 and 96 hr. The results showed a continuous accumulation of GABA in soaking treated brown rice of BGE and IB. Among the treated hours, 72 hours of soaking had the maximal accumulation of GABA (51.4 mg/100 g), amino acid, polyphenol and other components. The activities of glutamate decarboxylase (GAD) in brown rice and rice-bran were the same in BGE rice. However, the formation of GABA treated with L-glutamate as substrate showed dramatic increase of 354.6 (fourteen times higher than normal extraction) and 726.4 mg/100 g in BGE rice and rice-bran,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oaking and extraction with L-glutamate buffer could be better methods for the harvest of increased GABA.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