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TEX>$3.1{\sim}4.8$</TEX> GHz 대역에서 UWB를 허용하기 위해 국내에서 제시한 DAA 기술 기준을 적용하여 MB-OFDM UWB(Multi-B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ltra Wide Band) 시스템과 피 간섭신호간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DAA 기술 기준에서 정한 피 간섭 신호로는 유럽에서 DAA 적용 시스템으로 검토하고 있는 WiMAX나 국내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4G 시스템 등이 있다. MB-OFDM UWB 시스템은 TFC(Time Frequency Code)에 따라 심볼마다 3개 주파수 대역을 호핑하는 TFI(Time frequency Interleaving) 모드와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FFI(Fixed Frequency Interleaving) 모드를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호핑 모드에 따른 간섭 영향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TFC에 따른 평균 송신 출력 및 동기 구조를 반영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DAA 기술 기준을 적용할 경우, UWB 간섭 신호로부터 Wi-MAX 통신 시스템은 철저히 보호되는 반면, MB-OFDM UWB 시스템은 DAA 검출 레벨의 간섭 신호에 의해 주파수 다양성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주파수 호핑 모드에서 조차 심각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MB-OFDM UWB system when the interference signal that can be WIMAX signal or 4 G system signal is received by detection limit of -80 dBm/MHz proposed in Korea for DAA(Detect And Avoid) to permit UWB in <TEX>$3.1{\sim}4.8$</TEX> GHz. MB-OFDM UWB system supports two transmission modes; one is TFI(Time frequency Interleaving) mode that transmits OFDM symbols using different carrier frequency from symbol to symbol according to Time Frequency(TF) codes, the other is FFI(Fixed Frequency Interleaving) mode that transmits OFDM symbols using a specific carrier frequency. In this paper, we considered the TX average power and the synchronization structure to reflect the effect of frequency hopping according to TFC. Interferenc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WiMAX system is fenced thoroughly from UWB interference in domestic DAA regulation, but the performance of MB-OFDM UWB system is degraded seriously by an interference signal with the DAA detection limit even in frequency Hopping mode that can get frequency diversity effec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