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병원이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 네임을 브랜드 네임 스펙트럼 모형에 따라 분류한 후 병원 브랜드 네임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병원 네임은 의미 있는 단어(명칭)로 분류한 후, 분류된 단어를 대상으로 스펙트럼 분류를 하였고, 병원 네임에 담긴 스펙트럼 유형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브랜드 스펙트럼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연구대상 병원의 명칭은 임의적, 암시적, 서술적, 그리고 조어적 명칭의 순으로 분류되었다. 임의적 스펙트럼 중에는 지역명칭이나 의료기관 개설자 본인의 이름을 활용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우리나라 병원의 브랜드 네이밍 발전단계가 초보적 수준에 있으며, 많은 의료기관들이 브랜드 네이밍의 가치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브랜드 개발시에 소비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인식과 회상을 높일 수 있는 브랜드 네임의 형성과 더불어, 브랜드의 독자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브랜드 네이밍이 이루어지는 것이 앞으로 병원 산업계에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Brand name spectrum for hospital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yp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the yearbook of Korean Hospital Association in 2008. The hospital's name was divided into meaningful words and then the spectrum type of hospital name was decided based on the meaning of words. Hospital variabl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types of brand name spectrum among hospital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rbitrary nam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hospitals, then followed by the suggestive name, descriptive name, and then coined name. In arbitrary name, district name and person's name were most frequently used as the hospital name. Although most hospitals had one type of naming spectrum, some hospitals had types more than two. When hospital managers are developing hospital name, they will need to consider not only how it can provide the unique images to customers, but also how they protect their brand in legal aspec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