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Korean Abstract: 남북한과 러시아는 극동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산업협력에 대한 잠재력이 크 다. 한국의 경우 성장동력을 담당하던 제조업의 위기에 직면하였고 이는 직접 적으로 지역산업의 어려움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산업단지는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위한 자체 사업을 구상 및 이행함으로써 현재의 위기를 돌파하고자 하고 있다. 북한의 경우 제재와 경제난으로 구체적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지만 남북ㆍ북중 접경지역에서 내륙 및 연해지역으로까지 지방공업개발구를 확대하고 있 으며 산업분야도 지역별 비교우위에 따라 배치하여 균형적 산업발전을 도모하 고 있다. 러시아의 경우 오랫동안 극동지역의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추진해왔는 데 이를 위해서 동아시아 경제권으로의 효과적인 편입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 다. 이는 1990년대 시장경제 도입 이후 러시아 정부가 극동지역에서 추진해온 제조업 육성 정책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English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need for South and North Korea and Russia to actively promote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policies in the Far East area. From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measures of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the three countries through connecting their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with industrial policies. To realize this goal, this research analyzes and assesses the current situation of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policies by each country, and suggests measures for mutual connection between their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policies, also propos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is triangular cooperation. The focus of this discussion is to explore promising approaches to constructing an industrial cluster in Northeast Asia based on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of each nation. In this sense, preparation for triangular linkage is a basic task for constructing the industrial cluster. In particular, triangular cooperation could support Nor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als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Russia’s Far East policies and South Korea’s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the Northeast part of North Korea.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