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30대 스마트폰 이용자들 가운데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obile Instant Messenger, MIM)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MIM 이용행태와 MIM 이용강도가 사회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253명의 MIM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MIM 이용 빈도와 네트워크 사이즈(친구의 수) 및 MIM 이용강도의 경우 결속형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량형 사회자본에는 MIM 이용 강도만이 영향을 주는 변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친밀한 관계 속에서의 모바일 미디어 사용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한 양적 투자(이용행태)를 넘어서 이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대해 가지는 일상화에 따른 애착의 정도와 같은 질적 투자(이용 강도)가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증대를 측정할 수 있는 보다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obile instant messenger (MIM) usage pattern and MIM intensity influence MIM users' social capital. Total 253 MIM users in their 20's and 30's participated an online survey. Results showed that MIM frequency and network size affected bonding social capital. Meanwhile, MIM intensity was the only variable that influenced users' bridging social capital. Overall, the strength of strong ties in mobile media use was confirmed again. It was also confirmed that measuring the qualitative level of emotional attachment to the MIM (MIM intensity) was more important than gauging mere usage pattern when evaluating social capital enhancement through mobile media us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