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계방산 온대북부 낙엽활엽수림에서 하층식생(관목층과 초본층)의 식생조성 변화를 구명하였다. 조사지에 출현하는 식물은 56과 93속 124종 17변종 3품종 2아종 1미분류군으로 총 146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종면적 곡선에서 초본층과 관목층의 종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tel-test 분석 결과, 상층의 기저면적은 하층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하나로 분석되었다(p < 0.0001). 평균중요치는 관목층에서 생강나무(21.585%), 철쭉(19.774%)이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초본층에서는 조릿대(14.082%)와 생강나무(7.921%)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층의 NMS 배열 결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종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층의 기저면적 증가에 따라 반응하는 종이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본층 조사구의 NMS 배열 결과, 관목층의 철쭉과 진달래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MRPP-test에 대한 식생조성의 변화 결과, 관목층은 5년 그리고 10년에 따른 식생조성의 변화가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초본층은 5년 그리고 10년에 따른 식생조성의 변화가 유의성 있게 분석되어, 하층식생 중 초본층의 종조성은 관목층보다 종조성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understory vegetation composition (shrub and herb layers) in Mt. Gyebang as a northern-temperate deciduous broadleaf forest. Tracheophytes were 146 taxa, consisting 56 families, 93 genera, 124 species, 17 varieties, 3 forma, 2 sub-species and 1 unknown taxa in research subject area. As species area curve analysis, herbaceous layer and shrub species have been decreased over time. As a result of Mantel-test, basal area of upper layer affects to understory vegetation change (p<0.0001). Mean importance value was dominated Lindera obtusiloba (21.585%),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19.774%) in the shrub layer, identified Sasa borealis (14.082%) and Lindera obtusiloba (7.921%) in the herb layer. According to NMS analysis of shrub layer, Species characterized by strong correlation have been reduced as time goes by. And it reports different species as an increasing in basal area of the upper layer. Herb layer plots of the NMS analysi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consistently were affected in shrub layer. In consequence of MRPP-test for changes in vegetation compos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vegetation composition changes on shrub layer in 5-10 years. As a changes of vegetation composition on herb layer were analyzed significantly, composition change of herb layer species was larger than shrub layer species in understory veget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