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직업분류 및 고용분류별 스트레스, 스트레스 상담, 우울증상, 우울증상 상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직업분류별 및 고용분류별 확실한 비교를 위해 기준 직업군으로 '무직(직업분류 기준항목)'과 '무급가족종사자(고용분류 기준항목)'를 포함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6차 개정)에 의한 총 13개의 직업군을 이용하였다. 직업분류 및 고용분류별 스트레스, 스트레스 상담, 우울증상, 우울증상 상담 여부의 교차비에서는 '무직'과 '무급가족종사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대체적으로 더 낮게 나타난 반면, 스트레스 상담, 우울증상, 우울증상 상담에서는 '무직'과 '무급가족종사자'가 오히려 더 높은 교차비를 보였다. '관리직'을 포함한 7개의 직업군은 '무직'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만(OR > 1), 의료기관 이용률은 낮게 나타났다(OR < 1). '고용주 및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가 '무급가족종사자'에 비해 높은 교차비를, 스트레스 상담 및 우울상담에서는 낮은 교차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문제 선별 및 관리를 위해 특정 인구집단에 대한 접근을 통해 직장 내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 and to assess the utilization of professional consultation. Data extracted from Community Health Survey (CHS), conduct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ubjects were 174,975 (19-65 years). In result, 'Managers', 'Professionals and related workers', 'Clerks', 'Service workers', and 'Sales workers', 'Equipment, machine operating assembling workers', and 'Armed forces' were more in risk of stress. However, theses groups were less in probability of utilization for stress consul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ment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detecting risk group among occupation classification and employment status will be essential. It may be necessary to have sustainable strategies for utilizing mental health service to reduce the level of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 of workers.
Published Version (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