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엔진오일은 다양한 내연기관의 윤활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윤활제이다. 최근 자동차사 및 엔진오일 제조사 등은 엔진오일의 교환주기를 15000~20000 km를 권장하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정비관련업자 및 운전자들은 엔진오일의 성능진보와는 별개로 관습적으로 매5000 km 마다 엔진오일을 교환권유 또는 인식하고 있다. 빈번한 엔진오일의 교환은 폐엔진오일로 인한 환경오염과 차량 유지비 등의 증가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유와 실제 운행조건의 차량을 활용하여 5000 km, 10000 km를 각각 주행한 후 회수된 사용엔진오일의 다양한 물성으로 인화점, 유동점, 동점도, 저온겉보기점도, 전산가, 4구식 내마모시험 및 금속분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엔진오일은 신유에 비해 전산가, 마모흔, 철과 구리 성분 증가가 다소 관찰되었지만, 주행거리별 사용엔진오일의 물성 및 금속분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다. The engine oil is used for lubrication of various internal combustion engines. Recently, the vehicle and engine oil manufacture usually guarantee for oil change over 15000~20000 km mileage, but the most of driver usually change engine oil every 5000 km driving in korea. It can cause to rais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y used engine oil and increase the cost of driving by frequently oil chan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flash point, pour point, kinematic viscosity, cold cranking simulator characteristics, total acid number, four-ball test and concentration of metal component for fresh engine oil and used engine oil after real vehicle driving (5000 km, 10000 km). The result showed that the total acid number, wear scar diameter by four-ball test, Fe and Cu had increased than fresh engine oil, but 2 kind of used oil (5000 km and 10000km) had similar physical values and concentration of metal compone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