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사회로의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조경전문가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가 필요한 시점에서 스튜디오 교육은 조경학과 교과과정에서 실천적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교육방법론이다. 본 연구는 실무현장과 대학교육의 간극을 극복할 수 있는 스튜디오 수업의 의미와 주요 쟁점을 교육학적 접근을 통해 도출하여 스튜디오 수업을 재정비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경의 외부적, 내부적 여건 변화와 교육의 관계성을 역량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학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스튜디오 교육을 학습자의 관점에서 고찰하며, 조경교육의 변화를 추적하여 현재 우리나라 조경 스튜디오 수업의 현주소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스튜디오 교육을 진단하기 위한 다섯 가지 쟁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역량에 대한 총체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두 번째로 전체 교과과정에서 스튜디오 과목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이론과목과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재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설계 스튜디오의 의미를 되짚어 학년별 차별화 전략을 도입할 필요성을 논의하였고, 네 번째로 스튜디오 방법론의 연구와 실천을 통한 실질적인 수업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튜디오의 현장성 강화 및 다양성 확보 전략 수립과 기반시설의 확충과 관련한 문제를 제시하였다.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requires a new kind of professional. Studio education has been the core pedagogical method to bridge the practical world and higher education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However, it is questioned whether studio classes have truly been performed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s to solidify the competencies to meet the demands of the changing society. This study tries to draw key issues related to studio pedagogy in order to make a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tudio classes in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Five issues regarding landscape architectural studio education have been sugges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f three categories: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future professionals, the pedagogical paradigm shift, and the changes along the evolution of landscape professions and curricula. The first issue is suggested as to approach the competencies from the holistic and systematic approach to define landscape architectural professionals for the 21st century. Second, studio classes should be redefined in the context of an entire curriculum, and, as a consequence, the linkage among the individual courses is found to be important. Third, design studio classes need to be restructured to have differentiated pedagogical objectiv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phase. Fourth, it becomes crucial to research the pedagogical methodology and the reflective actions of instructors. Finally, it is required to think about what it means to be practical in the context of studio classes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infrastructure for the studio classes is to be importa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