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영성프로그램이 갱년기 여성의 불안과 우울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서적 안위제공에 도움이 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갱년기 여성 20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중재 전, 후와 6개월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1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영성프로그램 전, 후와 6개월 후에 불안(F=8.55, p=.009)과 우울(F=8.76, p=.001)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변수 중 신앙경력((F=10.57, p=.001)과 교육수준(F=4.13, p=.034)의 차이에 따라 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영성프로그램은 불안과 우울 등의 불안정한 정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정서적 안정 도모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인적 특성에 따른 적합한 영성프로그램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s of spiritual program on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menopause. Methods: Subjects are 20 women in menopaus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before, after and 6 month later Spiritual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of SPSS 21.1 program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nxiety(F=8.55, p=.009) and depression(F=8.76, p=.001)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ge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anxiety included education(F=4.13, p=.034) and career of christianity(F=10.57, p=.001). Conclusion: Spiritual program is concluded by us it has proven that psychological healing program like anxiety and depression so has been practiced actively. And Spiritual program is need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