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2013년 시행된, 미국인의 러시아 아동 입양을 금지하는 ‘디마 야코블레프 법’은 러시아 국내외에서 격렬한 논쟁과 갈등을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러시아 아동의 국제 입양 문제가 개인, 가정, 사회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국내 정치 및 국제 정치와도 밀접하게 연관된 점에 주목하고, 현대 러시아 사회를 해석하는 키워드이자 주요 이슈로서의 국제 입양 송출 현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주 체계 접근법 분석틀을 통해 국제 입양 송출 흐름의 형성과 변동(증가 및 감소)의 요인을 전 지구적 맥락속에서 분석하였다. 러시아의 국제 입양 송출 규모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전반에 급증하였으나, 2005년 이후 감소하였다. 국제 입양 송출 흐름의 형성(1990년대 초), 증가(1990년대~2004년), 감소(2005년~현재)에 유의미하게 작용한 요인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의 사회·경제적 상황은 국제입양 송출 흐름의 형성과 변동에 꾸준히 영향을 미쳤다. 흐름의 형성에는 국가 간 연결도 크게 기여하였다. 한편 흐름의 증가에는 사회·경제적 상황만이 영향을 미쳤으나, 감소에는 정책적 요인이 특징적으로 작용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