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시험은 질소시비 수준과 재생기간이 툴페스큐와 버뮤다그라스의 지방산 조성과 버뮤다 그라스의 사초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제주출장소 시험포장에서 2006년 6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톨페스큐의 식물체내 지방산 조성은 팔미틱산(C16:0), 리놀산(C18:2)과 리놀렌산(C18:3)이 총지방산의 87(N-0), 88(N-50), 88(N-100)%를 차지하였으며 질소시비수준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재생기간이 길어질수록 리놀렌산(C18:3)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리놀산(C18:2)은 다른 지방산과 달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뮤다그라스의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지방산 조성은 팔미틱산(C16:0)이 톨페스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리놀산(C18:2)과 리놀렌산(C18:3)은 톨페스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리놀산(C18:2)과 리놀렌산(C18:3)은 톨페스큐와 달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뮤다그라스는 질소시비수준이 높고 재생기간이 증가할수록 건물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소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조단백질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재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사료가치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톨페스큐와 버뮤다그라스의 지방산 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확 후 재생기간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남으로서 초지를 활용한 CLA 증진축산물을 생산시 가급적 수확 후 재생기간이 짧은 어린 목초를 이용할 수 있는 초종별 적정 예취시기와 방목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 각 초종별 계절 및 생육단계가 목초 내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itrogen (N) application level and regrowth period on the fatty acid (FA) concentration and forage production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 and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L.) Pers.). N was applied at 0, 50 and 100 kg/ha, and swards were cut after regrowth periods (15d, 30d and 45d).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FA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FA composition of tall fescue contains a high proportion (<TEX>$87{\sim}88%$</TEX>) of total FA contents as palmitic (C16:0), linoleic (C18:2) and linolenic acid (C18:3). The FA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N application, but a longer regrowth period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composition of linolenic acid (C18:3) and increased those of linoleic acid (C18:2). The FA composition of bermudagrass was not affected by N application, but a longer regrowth period significantly (p<0.001) decreased the composition of linoleic (C18:2) and linolenic acid (C18:3). Linoleic and linolenic acfd of tall fescue were higher than those of bermudagrass. Dry matter (DM) yield of bermudagrass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N application level and regrowth period. DM yield was higher at high N application and was higher at longer regrowth period. The crude protein concentration was higher at high N application and was low at longer regrowth period.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Increases dry matter (DM) yield and crude protein (CP) content of bermudagrass. These studies demonstrate opportunities to affect the FA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FA in forage through management strategies, which could affect milk FA composi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