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선행기술조사는 지식재산의 창출 및 활용 과정에서 발명자 및 출원인, 등록 가부를 판정하는 심사관, 변리업계 종사자 등에 의해 수행되는 기술경영의 핵심적인 프로세스이다. 그동안 체계적인 선행기술 탐색방법론에 관한 학술연구가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한 결과, 현장에서는 조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여 선행기술조사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시맨틱 기반으로 선행기술을 탐색하는 기존 연구들 또한 동일한 기술사상이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는 특허문서의 특성상 주요 선행기술의 유사성을 저평가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는 특허의 인용정보를 활용한 계층적 인용관계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효과적인 선행기술탐색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론은 특허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특허를 중심으로 인용관계에 있는 특허들 중 상대적인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산정함으로써 핵심 선행기술을 선별하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다. 제안 방법론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분야의 특허 1건에 대한 핵심 선행기술을 탐색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한 결과 206건의 선행 특허 중 10건의 핵심 선행기술 후보군을 선별 가능하였다. Prior art search is a core process of technology management performed by inventors and applicants, patent examiners, and employees in the patent industry. As a result of insufficient academic research on a systematic prior art search methodology, the process has been often carried out depending on the subjective judgment of researchers. Previous studies on exploring prior arts based on semantics have also have the risk of underestimating the similarity of major prior arts due to the nature of patent documents where the same technical ideas are expressed in various terms.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ffective prior art search methodology based on hierarchical citation analysis, which provides a clear criterion for selecting core prior arts by calculating weights according 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llected patents. In order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re prior art of one patent in the display field. As a result, 10 core prior art candidates were selected out of the 206 precedent patents.
Published Version (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