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이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55명을 대상으로 JSS, TIS, 그리고 SES JSS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부적으로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이 조절한다는 결과는 교사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을 높이려는 방안에 더하여 교사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onal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ry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355 nursery teachers on JSS, TIS, and SES, which then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Second,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ird,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Fourth, self-efficacy had moderational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above findings imply that various programs should be taken to enhance the self-efficacy of teachers in order to reduce turnover rat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