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인터넷상의 데이터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는 빅데이터 분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정형 데이터분석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비정형 데이터 분석 분야 중 하나인 텍스트마이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텍스트를 기반으로 문장의 긍정, 부정을 판별하고 분류하는 감성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연장선 상에서, 본 연구는 감성분석에 사용되는 감성사전을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하여 구축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데이터가 속한 영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범용 감성사전을 감성분석에 사용할 경우, 해당 영역에서 쓰이는 단어 또는 감정 표현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감성분석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감성분석에 있어서 영역 맞춤형 감성사전의 사용 시 데이터 영역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해 분석의 정확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리뷰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대표적 영화정보 사이트 IMDb에서 발생된 약 2년간의 영화리뷰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영화 장르별 사용되는 단어의 의미가 각각 다를 것을 고려하여 영화를 '액션', '애니메이션', '코메디', '드라마', '공포', '과학공상' 6개 장르로 분류했다. 맞춤형 감성사전 구축을 위한 핵심 기법으로 SO-PMI(Semantic Orientation from Point-wise Mutual Information)를 활용하였으며, 어휘 간 극성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형용사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결과 맞춤형사전을 활용한 감성분석 예측정확도는 영화 장르별로 상이했다. '애니메이션'을 제외한 5개 장르에서 기존의 범용 감성사전대비 맞춤형 감성사전의 예측정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영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사전 구축을 통한 감성분석의 예측의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향후 감성사전 구축 시 동사, 부사 등 다양한 품사의 어휘를 추가하여 감성분석 예측정확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Due to the growth of internet data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big data" analysis is actively conducted to analyze enormous data for various purposes. Especially in recent years,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 applications of text mining techniqu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ructured data analysis. Various studies on sentiment analysis, the part of text mining techniques, are actively studied to score opinion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polarity of words in documents. Usually, the sentiment analysis uses sentiment dictionary contains positivity and negativity of vocabularies. As a part of such studies, this study tries to construct sentiment dictionary which is customized to specific data domain. Using a common sentiment dictionary for sentiment analysis without considering data domain characteristic cannot reflect contextual expression only used in the specific data domain. So, we can expect using a modified sentiment dictionary customized to data domain can lead the improvement of sentiment analysis 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way to construct customized dictionary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data domain. Especially, in this study, movie review data are divided by genre and construct genre-customized dictionaries. The performance of customized dictionary in sentiment analysis is compared with a common sentiment dictionary. In this study, IMDb data are chosen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movie reviews are categorized by genre. Six genres in IMDb, 'action', 'animation', 'comedy', 'drama', 'horror', and 'sci-fi' are selected. Five highest ranking movies and five lowest ranking movies per genre are selected as training data set and two years' movie data from 2012 September 2012 to June 2014 are collected as test data set. Using SO-PMI (Semantic Orientation from Point-wise Mutual Information) technique, we build customized sentiment dictionary per genre and compare prediction accuracy on review ra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diction using customized dictionaries improves prediction accurac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s 2.82% in overall and is statistical significant. Especially, the customized dictionary on 'sci-fi' leads the highest accuracy improvement among six genres. Even though this study shows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dictionaries in sentiment analysi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 results. In this study, we only consider adjectives as additional terms in customized sentiment dictionary. Other part of text such as verb and adverb can be considered to improve sentiment analysis performance. Also, we need to apply customized sentiment dictionary to other domain such as product reviews.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