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보리 재배지에서는 21과 55종, 마늘 재배지 22과 56종, 양파 재배지 19과 47종, 배추 재배지 26과 68종, 감자 재배지 22과 54종, 고구마 재배지 25과 62종, 고추 재배지 29과 87종, 옥수수 재배지 28과 79종, 콩 재배지 29과 84종이 발생되었다. 작목별 우점하는 초종은 보리 재배지 뚝새풀 20.7%, 마늘 재배지 황새냉이 12.3%, 양파 재배지 좀명아주 18.7%, 배추 재배지 쇠비름 8.1%, 감자 재배지 좀명아주 13%, 고구마 재배지 바랭이 12.6%, 고추 재배지 바랭이 12.6%, 옥수수 재배지 11.3%, 콩 재배지 바랭이 13.2%로 발생되었다. 동작물 재배지에서는 뚝새풀, 황새냉이 및 좀명아주가, 하작물 재배지에서는 바랭이, 쇠비름, 깨풀이 가장 문제시 되었다. 이러한 잡초 발생 정보는 경남지역 밭잡초 관리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weed control by surveying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upland crop fields in Gyeongnam province of Korea. The result of this survey, 55 weed species 21 families in barley fields, 56 weed species 22 families in garlic fields, 47 weed species 19 families in onion fields, 68 weed species 26 families in Chinese cabbage fields, 54 weed species 22 families in potato fields, 62 weed species 25 families in sweet potato fields, 87 weed species 29 families in red pepper fields, 79 weed species 28 families in corn fields, 84 weed species 29 families in soybean fields.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in upland crop fields of Gyeongnam province were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20.7% (barley fields), Cardamine flexuosa 12.3% (garlic fields), Chenopodium ficifolium 18.7% (onion fields), Portulaca oleracea 8.1% (Chinese cabbage fields), Chenopodium ficifolium 13% (potato fields), Digitaria ciliaris 12.6% (sweet potato fields and red pepper fields) and Digitaria ciliaris 11.3% (corn fields), 13.2% (soybean fields). This information could be useful for establishment of future weed control methods in Gyeongnam provin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