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 중, 취업 중인 어머니 44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심리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관계,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 결혼생활 관련 변인인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부부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대체로 심리적 특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와 부부 갈등 분야에서의 본 연구의 의의와 가족 상담 과정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 infant-mother's job satisfaction, psychological features,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pecifically, we tried to identify influences of an infant-mother's job satisfaction 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and demonstrated how psychological features (self-efficacy,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mediated by these influences by using a sample of 444 Korean infant-mothers with jobs from the 3rd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ith AMOS 20.0. Firs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job satisfaction of an infant-mother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here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among psychological features. Furthermore, job satisfaction of an infant-mother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Second, an infant-mother's job satisfaction did predict marital conflict, but not parenting stress. However, these job satisfactions were mediated by an infant-mother's psychological factors.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fant-mother's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martial conflict in the family counseling implication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