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의 안전 및 치안을 위해 2013년 10월 16일 서울 관광경찰대가 출범하였다. 관광경찰의 주요역할은 관광지내 범죄예방 순찰 및 기초질서 유지, 외국인 관광객 대상 불법행위 단속 및 수사와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과 협조하여 음식점 숙박업소 택시 등 관광관련 영업의 부당요금 단속, 관광 관련 업계 및 종사자에 대한 행정지도 및 단속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관광경찰의 역할을 살펴보면, 일반 경찰과 역할이 중첩되고,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등 타 기관과의 업무협력을 요하는 부분이 많아 일반 경찰과 관광경찰 사이에는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일어날 소지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경찰의 역할에 대한 일반경찰과 관광경찰의 역할 모호성 역할갈등이 업무만족 및 업무수행도에 대한 인식차이와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관광경찰제도의 발전에 기여고자 한다. The tourism police force has been established on 16th October 2013 for foreign tourists' safety and security. The major roles of tourism police officers were provided a crime prevention patrol and maintenance of order in tourist destination, a clampdown on illegal activities for foreign tourists, a controlling for overcharging of restaurants accommodations taxi, an administrative guidance and controls on tourism industry and worker in union relative organ like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local government. However, the roles of tourism police officers overlap the work of general police officers and work of tourism police officers need a cooperative business with relative organs. It is caused a role ambiguity conflict between tourism police officers and general police officer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tourism police system through investigate a perceived gap of role ambiguity conflict between tourism police officers and general police officers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of role ambiguity confli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