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치매의 특성상 집중력 결핍, 불안, 긴장 등으로 운동지도 현장에서 치매 고령자에게 운동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운동시간을 배분하여 실시하는 방법인 간헐적 운동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속적 운동과 간헐적 운동이 기능적 체력,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이들을 위한 적절한 운동 처방의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대상자 선정은 B광역시 A치매전문요양원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고령자로 DSM-IV 기준에 따라 확정적 치매의 진단을 받은 자이다. 연속적 운동군 6명, 간헐적 운동군 5명으로 총 11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손발운동, 한국무용과 밴드운동을 실시하였다. 주 3회, 총 12주간 실시하였다. Borg's scale을 이용하여 준비 및 정리운동은 RPE 7-9, 본 운동은 RPE 11-13의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연속적 운동군은 1일 1회 30분간, 간헐적 운동군은 1일 3회 10분씩 총 30분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Ver. 18.0을 사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wo-way repeated ANOVA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기능적 체력과 인지기능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시기에서 차이가 없었다. 모든 항목에서 집단, 시기<TEX>${\times}$</TEX>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속적 운동군과 간헐적 운동군의 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모든 치매환자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이 있지만 운동시간 배분에 있어 연속적 운동방법과 유사하게 간헐적 운동의 방법도 경증치매환자의 운동처방에 유효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Dementia such as poor concentration, anxiety and tension makes it hard to continue exercise in reality. For this, intermediate exercise is suggested in this study. And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n senior fitness, cognitive function(MMSE-K) and daily living activity(ADL) by continuous exercise and intermittent exercise, which helps to provide proper exercise treatment to them. For this, female elderly patients at A dementia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are selected and they have been diagnosed with possible Alzheimer's disease according to DSM-IV. Among them, six(6) are grouped for continuous exercise and five(5) for intermediate exercise, total 11 people are finally tested. They are given hand&foot exercise, Korean folk dance and band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the total 12 weeks. The continuous exercise group does their exercise one time of 30 minutes a day while the intermediate exercise group for three times of each 10 minute a day. For the result, SPSS Ver. 18.0 is used to get mean value(M) and standard deviation(SD) and in order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ercise group and time, two-way repeated ANOVA is appli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s set at .05.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between senior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and time<TEX>${\times}$</TEX>group.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group and time<TEX>${\times}$</TEX>group for daily living activity. Continuous exercise group and intermediate exercise group both have the similar effects. That does not mean that intermediate exercise is the best for all people with dementia, but in terms of exercise time, intermittent exercise may be effective for patients of light dementia.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