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가정내 사회적 자본과 우울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 (KYPS) 초등학교 4학년 3차-5차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2,306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우울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우울을 완화시키기 위해 부모-자녀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한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가정내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부모-자녀 관계의 친밀감과 신뢰, 가족기능의 강화를 위한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families on depression of adolescents. It also examines whether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in families and depression. This study uses 2,306 adolescents drawn from the <TEX>$3^{rd}-5^{th}$</TEX>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ith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in families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Second, adolescents with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are more likely to have high level of self-esteem. Third, adolescents with high level of self-esteem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Lastly, social capital in families has impacts on depression through self-esteem. Thu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ocial capital in families to address adolescents' depression. Developing intimat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is needed to increase social capital in familie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and services to enhance self-esteem of adolescents, which will prevent or address adolescents' depres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