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기존 성토재하 방식의 연약지반 개량공법에서 제기된 여러 가지 문제에 의해 진공압 재하방식의 개량공법이 개발되었으며, 국내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현장에서의 침하관리시 동일한 하중을 재하하였을 경우의 진공압재하공법과 성토재하공법에 대한 침하량 비교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두 공법의 발생침하량에 관한 이론 및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연약지반 개량을 위해 진공압이 적용되면 내향의 수평변위가 발생하고 동일한 하중재하 대비 침하량이 감소하였다. Hooke의 탄성이론을 바탕으로 한 경우 0.54~0.67,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0.50~0.75, 과거 국내 시공사례를 바탕으로 한 경우 0.91, 실내시험을 바탕으로 한 경우 0.81, 탄성론과 체적압축계수법을 바탕으로 한 경우 0.75, 최근 국내 대심도 시공 사례의 경우 0.77~0.93의 범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 vacuum pressure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solve many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surcharge method such as embankments, and its application has increased in the country. Recently, to control target settlements in the fiel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settlements between vacuum pressure method and surcharge load method in the same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soil subjected to vacuum pressure and surcharge pressure are discus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if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soft ground, there will be inward lateral displacement and the vacuum pressure will induce generally less settlement than a surcharge load of the same magnitude. The range of settlement reduction ratio is 0.54~0.67 based on Hooke's law, 0.91 based on field cases, 0.81 based on laboratory oedometer tests, 0.75 based on the theory of elasticity and coefficient of volumetric compressibility and 0.77~0.93 in its recent applications to the thick soft groun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