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체육지도자의 사회연결망과 직업성취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11년 서울 소재 스포츠시설업에 재직하고 있는 사회체육지도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총 240명을 표집하였다. 그러나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203명이었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전문가회의를 통한 내용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한 Cronbach's <TEX>${\alpha}$</TEX>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Chronbach's <TEX>${\alpha}$</TEX>값은 .674이상으로 나타났다. 자료처리는 SPSSWIN 18.0을 활용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일수록, 취업횟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연령이 많을수록 개인적 연결망을 활용하여 취업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사회연결망은 직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적 연결망보다는 제도적 연결망을 활용한 취업자일수록 임금만족도는 높으며, 개인적 연결망과 제도적 연결망을 활용한 취업자일수록 학력적합도는 높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network of sports for all's instructor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sampled 240 instructors of sports facilities of Seoul utiliz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in 2011. But this study finally used 203 samples in data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struments tested by expert meetings and reliability analysis. Chronbach's <TEX>${\alpha}$</TEX> is over .674. Data analysis 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8.0. Conclus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gender, number of employment influence on employment throughout individual network. Second, social network influences on occupational achievement. Namely, individual network influences on wage satisfaction, social network influences fitness of academic career.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