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FORM 아키텍처 모델은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내의 제품 개발에 재사용될 수 있는 아키텍처로서 FORM 방법론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기존의 FORM 아키텍처 모델을 실무에 적용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UML(Unified Modeling Language)과 같이 표준화된 모델이 아니므로, 이 모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고유한 모델링 도구가 필요하다. 둘째, FORM 아키텍처 모델은 휘처모델과의 대응 관계를 통해 가변성을 관리만 할 뿐, 아키텍처의 가변성을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FORM아키텍처 모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FORM 아키텍처 모델을 UML 모델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는 FORM 아키텍처 모델링에 다양한 UML모델링 도구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휘처모델과의 대응관계를 통해서 FORM 아키텍처 모델의 가변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뿐만 아니라 표현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FORM(Feature-Oriented Reuse Method) is one of representative product line engineering methods. The essence of FORM is the FORM architecture models, which can be reused i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products of a software product line. The FORM architecture models, however, have the following problems when applied in practice. First, they are not standardized models like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and therefore they can be constructed only through a specific modeling tool. Second, they do not represent architectural variability explicitly. Instead their variability is only managed through a mapping from a feature model. To address these two problems, we developed at first a method for representing the FORM architecture models using UML, which enables the FORM architecture models to be constructed through various available UML modeling tools. Also, we developed an effective method for representing as well as managing the variability of the FORM architecture models through a mapping from a feature model.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