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우리나라 경찰은 근대화를 거침으로써 일제식민지 시대의 대륙법계 경찰체제를 거쳐 해방 후 미정 경찰체제를 받아들임으로써 혼재한 상황에서 전란으로 한국의 경찰 정체성을 확립하기보다 체제완성에 집중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후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외부 환경이 안정화를 갖춤에 따라 현대사회 경찰활동을 지향하기 위해 내부적 성찰을 통한 경찰활동의 철학 즉, 경찰 정체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찰 정체성 정립을 위한 접근은 주요 변수를 찾는 것에 치중하여 단계적 계측을 중시해 왔다. 이러한 단적인 계측 연구를 통한 경찰조직의 정체성은 복제(replication)을 수행할 수 없을뿐더러 이상적 정체성을 내재화하는 것에 한계를 가졌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찰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과 접근론의 형성을 논의하기 위해 경찰관이 정체성을 내재화하기 위한 인식으로써 어떠한 수단에 의존하는지와 의존수단에 따른 경찰활동 반영성을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It is the fact that Korean police has not focused on establishing identity but focused on establishing system due to the war under the confused situation which accepted police system of continental law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y and then accepted the police system when being governed by USA. Afterward, a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atmospheres outside became stable, police identity, the philosophy of police activity through internal introspection in order to orient police activity in modern society, is needed. However, most of approaches for establishing police identity have focused on phased measurement by emphasizing to find major variables. Such identity of police organization through certain measurement study could not only carry out replication but also showed its limit to internalize ideal ident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flectivity of police activity according to how it depends on certain means and depending means as a recognition to internalize the identity in order to discuss the formation of necessity and approach in establishing police identity, and suggested its resul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