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고대 중국어 개사 ‘以’의 목적어의 이동과 생략에 대해 그동안 통사, 의미, 화용 등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고는 『孟子』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정보구조(information structure)의 관점에서 전면적인 분석을 도모하였다. 특히 Vallduvi(1990)는 기존에 화제-초점, 바탕-초점 등 이분적으로 분할하던 정보구조를 연결부-꼬리부-초점부로 삼분으로 계층 분절하였다.BR 개사 ‘以’의 목적어는 문두 혹은 ‘以’ 앞으로 이동된다. 문두로 이동하는 경우 연결부로 지정된다. 개사 ‘以’의 목적어가 의문사인 경우 ‘以’ 앞으로 도치되어 초점부가 되는데 이는 이전시기 SOV어순의 잔재로 볼 수 있다. 지시대명사 ‘是’의 경우 以’ 앞뒤에 모두 출현하는데 꼬리부와 연결부로 정보구조에 차이가 있으며 문법화 경로에 영향을 미쳤다. 일반명사 역시 개사 ‘以’ 앞으로 이동하여 문두에 나타나면 대조적 연결부가 되거나 혹은 초점부에 포함된다.BR 개사 ‘以’ 뒤의 목적어는 흔히 구정보이고 접근성이 높을 경우 생략된다. 정보구조적으로는 구정보가 후행 문장에서 연결부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잉여적 구정보라도 선행 문장과 다른 정보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생략되지 않는다. 예컨대 선행 문장에 초점부로 기능하던 것이 후행 문장에서 꼬리부로 기능하는 경우 생략되지 않는다. 또한 구정보라도 초점부에 포함되는 경우 생략되지 않는다.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