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사회서비스의 공급체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학문적 연구 성과는 사회서비스 제공현장의 확장속도를 충분하게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연구는 현재의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에 대한 연구의 현황을 확인하고 새로운 연구와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논문은 총 79편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틀은 분석차원, 분석기준 그리고 분석내용으로 구분을 하여 빈도와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의 품질관련 평가 모델이나 품질 인증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서비스 관련 연구의 확대를 위해 사회서비스 예산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규모, 개별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관련 자료 등의 공개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사회서비스 공급체계 연구 확대를 위해 사회서비스 예산 배분, 인구 특성, 형평성 그리고 지역 정보 등을 활용한 사회서비스 수요에 대한 예측 관련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공급과잉에 의한 서비스의 질의 감소 현실을 고려하여 개별 사회서비스 공급 기관의 진입 규정에 관한 연구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cademic research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s very limited. This paper checked on the status of research on current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n order to explore new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s. Analysis study consisted of 79 pieces and the framework was divided into dimensional analysis, content analysis and analytical standards. Research on the papers of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s showed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policy discussion to the phase of the individual services. Summarizing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ies confirmed that at this time the quality studies o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s needed. Second, this indicates that right now, the government budget of social services and the data relating to social service agencies will be opened to the public for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studies. Third, to expand social services delivery systems research, it showed that social services demand forecasting research such as budget allocati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equality of public service and local information is needed. Finally, since the quality of service is reduced by the oversupply, the discussion of the entry regulations of social service providers is requir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