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글은 가내 시청을 가족 구성원의 공동 시청이라는 교호적 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가내 TV의 의미 변화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족시청을 선호하는 집단과 가족시청을 기피하는 집단을 구분하고, 기피 집단이 TV를 시청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KISDI가 제공하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자료의 2017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TV를 가족과 함께 보는 방식이 여전히 주류적인 가내 시청 방식으로 확인되는 가운데 젊은 세대에게서 PC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시청 기피자들이 TV를 보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TV 크기의 영향력만이 유의미했다. 이 결과를 TV가 ‘가족의 화로’가 아닌 ‘사적 스크린’으로서 활용되는 경우의 징후로 해석하면서 이 글은 가내 스펙터클 미디어로서 TV의 의미를 서술하고 이에 따른 방송 편성 전략과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를 아울러 논의하였다.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