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V드라마의 여성상에 변화가 감지되었던 2005년을 기준으로 멜로장르 TV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성 주인공의 변화상을 알아보기 위해 1992년부터 2012년까지 시청률 상위에 위치한 멜로드라마 74편의 남성 주인공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5년 이후 남성 주인공의 남성상 유형의 변화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변화한 유목은 첫째, 남자 주인공의 연령은 30대 이상이 증가하였다. 둘째, 미혼 남성이 증가하였다. 셋째, 여성을 남성과 동등하게 보거나 여성과 남성의 역할구분을 두지 않는 남성상이 증가하였다. 넷째, 자신의 몸을 치장하는 남성상이 증가하였다. 다섯째, 문제 발생 시 타인을 의존하는 남성상이 증가하였다. 여섯째, 타인과의 관계에서 수동적 남성상이 증가하였다. 남성의 직업과 경제적 수준, 성격과 성의식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2005년 이후 선행연구에서 보여 지던 남성상에 대한 고정관념이 많은 부분 사라졌으며 현재의 남성상은 보다 양성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asculinity types of the male lead appearing in melodrama genre TV series with 2005 as the borderline when we perceived the change of female types in TV drama series. To attain the goal, the paper analyzed the change of the male lead in 74 melodrama series that ranked high from 1992 till 2012 in terms of the ratings. As a result, from 2005, the types of masculinity of the male lead changed significantly. The followings deal with the details of the change: first, about the age of the male lead, those in the 30's or older increased. Second, unmarried men increased. Third, more of them saw men and women equally, and masculinity types setting no role division for men and women increased. Fourth, masculinity types of having more concern over their appearance increased. Fifth, masculinity types of relying on others when a problem occurred increased. Sixth, in relationship with others, passive masculinity types increased. There was no change in men's jobs, economic level, personality, or sexual consciousness. This study result shows that from 2005, stereotyped masculinity types shown in advanced research have disappeared a lot, and the current men image tends to show both male and female featur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