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육질등급별 한우의 수분함량은 육질등급이 2등급에서 <TEX>$1^{{+}{+}}$</TEX>로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조지방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보수력은 육질등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이오글로빈 함량의 경우 육질등급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가열감량과 드립감량은 육질등급이 낮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전단력은 육질등급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신선육에 대한 외관 평가 결과 표면의 수분은 육질등급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마블링은 육질등급이 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이취에 있어서는 2등급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p<0.05). 이에 따라 신선육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도는 <TEX>$1^{{+}{+}}$</TEX>등급과 <TEX>$1^+$</TEX>등급이 1등급이나 2등급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조리육에 대한 관능적 특성 결과 중 향미는 육질등급이 2등급에서 <TEX>$1^{{+}{+}}$</TEX>등급으로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좋게 나타났으며(p<0.05), 맛과 다즙성은 <TEX>$1^+^+$</TEX>등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에 따라 조리육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도는 육질등급이 2등급에서 <TEX>$1^{{+}{+}}$</TEX>등급으로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볼 때, 한우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수분함량, 조지방, myoglobin 함량 및 전단력이 중요한 물리화학적 인자라고 판단되며, 신선육에 있어서 marbling score는 조리시 맛,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quality grad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anwoo beef on the basis of four quality grades (grade <TEX>$1^{{+}{+}}$</TEX>, <TEX>$1^{+}$</TEX>, 1, and 2).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myoglobin content (from 12.73 mg/g to 7.90 mg/g) and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from 28.01 kg to 14.03 kg) were found with reduction in quality grade (p<0.05). In contrast, increasing quality grade correlated with significant increase in crude fat contents (from 8.18% to 19.55%). Crude fat cont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oisture content (r=-0.966), myoglobin content (r=-0.998), and WBs (r=-0.969). In sensory evaluation experiments it was revealed that quality grades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altered (all p<0.05) flavor, taste, juiciness, tende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Moisture conten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aste (r=-0.969) and overall acceptability (r=-0.988). Crude fat cont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aste (r=0.971), tenderness (r=0.983) and overall acceptability (r=0.968). WB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aste (r=-0.957) and overall acceptability (-0.978). The marbling score of fresh mea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aste (r=0.958), juiciness (r=0.953), and overall acceptance of cooked mea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set to evaluate the effect of quality grad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Hanwoo beef.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