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청송 북동부에서 중태산과 갈평지 관입체는 영양소분지에서 각각 가송동층과 도계동층을 관입하여 각각 병반과 암주로 산출된다. 그리고 청송 암맥군은 도계동층을 관입하며 갈평지 암주에 매우 밀접하게 조합되어있다. 이 암맥군은 방사상으로 갈평지에 수렴되고 전체 윤곽이 타원형 분포를 나타낸다. 또한 암맥들은 유상엽리, 구과상, 석정상 구조를 나타내는 유문암맥들이며 하나의 단일 관입상을 나타낸다. 암맥들의 방향성은 관입체에서 응력상태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암맥들은 일반적으로 갈평지 암주의 관입에 의해 퇴적암류의 도움작용 동안에 최고 주응력축에 직각으로 발생하는 방사상 단열에 따르는 수직 인장절리를 따라 주입해 방사상 패턴을 나타낸다. 이 패턴은 본역에서 이 암맥들이 대부분 방사상 절리들 속으로 주입을 충분히 설명해줄 수 있다. Jungtaesan and Galpyeongji intrusions in the northeastern Cheongsong occur as laccolith and stock which intrude Gasongdong Formation and Dogyedong Formation, respectively. Cheongsong dike swarm, intruding the Dogyedong Form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is stock. The dike swarm is more radial to focus into Galpyeongji and its outline is oval. The dikes of the dike swarm are only rhyolite dikes with flow banded, spherulitic and rare stony structures, and represents a single intrusive phase of magma. It can be interpretated that orientation of the dikes is controlled by stress states. Therefore, the dikes display a radial pattern through occupying vertical joints that have been generally attributed to radial fractures formed during doming of the sedimentary rocks by the intrusion of the Galpyeongji stock. The dike pattern could sufficiently account for dike injections into these joints.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