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유료 콘텐츠를 정당한 서비스 수신자에게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수신자 사이에 안전한 키 교환이 필요하다. 그룹 키 교환 프로토콜은 이러한 그룹에 속한 멤버들이 공개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룹의 세션키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최근에 L. Zhou는 효율적인 인증된 그룹 키 교환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Zhou의 기법이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지 않음을 보인다. An authenticated group key agreement protocol allows a group of parties communicating over an insecure network to share a common secret key. In this paper, we show that Zhou et al.'s ID-based authenticated group key agreement schemes do not provide forward secrecy.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