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 중 브롬화난연제의 잔류농도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금강과 낙동강 수계 및 하구언에서 총 11개 시료를 대상으로 PBDEs와 HBCD를 분석하였다. PBDEs의 총 농도 검출범위는 2.19~101.34 ng/g-dw, 평균농도는 30.70 (중앙값 20.91) ng/g-dw로 나타났으며 하천이 하구언에 비해 농도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HBCD 농도범위는 N.D.~7.85 ng/g-dw, 평균농도는 1.47 (중앙값 0.34) ng/g-dw로 나타났다. HBCD 농도는 PBDEs에 비해 약 1/20 정도 낮은 범위로서 이는 국내에서 사용된 브롬화 난연제 중 HBCD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PBDEs와 HBCD의 이성체 분포를 확인한 결과, 상업용 제품사용에 의한 유출과 같은 직접적인 원인 외에도 이들 물질의 물리 화학적 성질과 광학적 분해 및 환경 중 거동 특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분포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otal 11 samples of sediments from the Geum river and the Nakdong river and its estuari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BDEs and HBCD. Concentration of PBDEs in sediments ranged from 2.19~101.34 (average 30.70, median 20.91) ng/g-dw. The concentration range of PBDEs in river sediments is greater than those of estuary sediments. The HBCD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N.D.~7.85 (average 1.47, median 0.32) ng/g-dw. HBCD concentrations compared with PBDEs are approximately 1/20 level, which is associated with low domestic usage. Isomer patterns of PBDEs and HBCD suggested that not only the use of commercial products, bu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environmental behavior could affec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chemicals and their isomers.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