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숲이라는 자연환경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숲과 교실이라는 환경에서 각각 실시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S시의 중학생 24명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등으로 각각 8명씩 무선 할당하여 총 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후 및 추후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종속변수는 인터넷 중독 점수와 자존감 점수로 하였다. 연구결과, 숲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 시기에서 인터넷 중독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시기별로 보면, 실험집단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에 인터넷 중독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교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시기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숲 환경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시기에 자존감의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존감의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비교집단 또한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존감이 유의하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에 자존감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숲이라는 자연환경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중독 증상을 감소시키고 자존감을 향상하는 등의 치료적 기제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중독자에 대한 치료적 방법의 하나로서 숲 환경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forest environment on internet addition and the self-esteem of internet-addicted adolescents. For comparison, the same group counseling programs were conducted in a classroom not in the forest. Twenty-four second grade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S-city were grouped with 8 members in each group. Each group joined this program 6 times. The group results were then compared over a follow-up perio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internet addiction scores and self-esteem scores. In the research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took this program in the forest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ternet addiction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According to the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net addiction scores compared to the previous scores,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comparis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program in the forest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score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elf-esteem scores of the comparison group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scores,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natural environment, such as a forest, has therapeutic effects on decreasing the addiction symptoms' of internet addiction adolescents and also helps raise their self-esteem. Nevertheless, more study will be needed to verify what effects the forest environment have on the therapeutic mechanism on various addicts. Lastly, the constraint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described.
Published Version (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