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확장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하지만 PC 소프트웨어, 동영상, 음원, 등 다른 디지털 컨텐츠와 마찬가지로 모바일 앱의 불법적인 유통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앱 불법복제 행동 유발요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행위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에 목적론적 요인과 과거행동 및 습관 요인을 추가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수도권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하였다. 주관적 규범을 제외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PC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경험은 스마트폰 앱 불법복제에 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력과 습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습관은 행동의도의 중요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지각된 이익은 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법적, 기술적 위험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Due to the expandability of smartphone, the mobile application market is growing explosively. However, as happens in other digital contents markets, piracy of mobile applications is preval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havioral factors on smartphone application piracy. The research model consists of factors from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odel - subjective norms, attitudes toward piracy and perceptions of behavioral control. In addition, perceived consequences, past behavior and habit was included. The past behavior of PC software piracy was a meaningful predictor of habit, and habit was found to influence significantly the smartphone piracy intention. The result also shows that perceived benefit had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but both perceived legal and technical risk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ttitud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