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수출입은행이 금융지원한 2011년~2013년의 2,753개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현황 및 기술금융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평균 약 400개의 중소기업이 지재권을 보유하며 약 200개의 중소기업이 특허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제조업 중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KSIC 2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KSIC 2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KSIC 30)에 가장 높은 지재권 집중도를 보인다. 또한, 지재권 보유 기업의 경우 총자산, 매출액, 연구개발비가 비(非)보유 기업을 크게 초과하며, 유동성에서 약간의 우위를 보이고, 부채비율도 다소 낮게 나타난다. 수익률 지표에 있어서는 지재권 보유기업이 비(非)보유 기업에 비해 다소 열악하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신용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지재권 보유수가 증가하나 그 상관관계는 0.1정도로 약하다. 신용도가 매우 취약한 기업의 지식재산권과 특허 보유율이 각각 20~30%임을 감안할 때, 이들의 기술금융지원으로 인한 리스크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technology financing for export-import based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Our sample consists of 2,753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receiving financial support from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for the period of 2011-2013. We find that only 400(200) firms reserve IPs(patents) annually. Given that IPs are likely to concentrate on manufacturer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video, soun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manufacturing(KSIC 26), other machinery and equipment manufacturing(KSIC 29), manufacture of motor vehicles and trailers(KSIC 31). We also find that the total assets, sales and R&D expenses of IP holding companies greatly exceeds those of companies without IPs. In addition, IP holding companies' liquidity seems slight edge and the leverage ratio is somewhat lower. However, profitability ratios of IP holding companies are rather than harsh or similar level. 20~30% of IP holding firms show very week credit scores, implying that banks' default risk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