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다양한 시설의 건설, 다수 이해관계자의 참여, 긴 사업기간 등의 복잡성으로 인해 대규모 건설프로젝트는 이를 관리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효과적인 대규모 프로젝트관리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진도율 측정이 중요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들은 단일 또는 일부 시설의 건설 프로젝트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시설들을 건설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건설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한 진도율 측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함을 목표로 한다. 프레임워크는 작업분류체계 개발, 주요시설별과 하위시설별 가중치 산정, 통합 진도율 산정으로 총 4가지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 프레임워크를 검증하기 위해서 세종시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고, 활용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규모 건설프로젝트의 진도율을 보다 합리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효과적인 프로젝트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Managing mega construction project is a very challenging task due to its large scale and complexity. To deal with the challenge, progress measurement must be estimated reliably and effectively. Many researchers have presented progress measurement methods, but previous studies are limited to single or several types of facilities. Thus, they have difficulties to being applied to mega construction projects that covers multiple facili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progress measurement framework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mega construction projects. The framework consists of four phases : development of Work Breakdown Structure, determination of weights of main facilities and sub facilities, and calculation of the integrated progress rate. To validate the proposed approach, a case study of Sejong city in Korea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e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ramework and confirmed that it enables to reliably measure progress rate of mega construction projec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