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무분별한 복제 비디오를 막기 위하여 비디오 지문을 개발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비디오 지문들은 복제 비디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변화에 강인해야 하며 정확하게 구별될 수 있는 높은 분별력을 지녀야 한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지문들은 luminance(밝기), gradient(기울기), 그리고 DCT(주파수) 공간 등에서 주로 추출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각 공간과 비디오 지문 사이에 실질적인 성능이 차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공간에 따른 복제 비디오 검출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강인함과 분별력에 기반한 복제 비디오 검출 실험을 진행하고 분석 하였다. 본 논문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각 공간에서 비디오 지문을 추출하고 각각 강인함과 분별력을 비교 한 후 최종적으로 복제 비디오 검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DCT 공간에서 추출된 비디오 지문이 다른 공간보다 좀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는데 이는 해당 공간이 다른 비디오 지문들과 분별력이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In order to prevent illegal video copies, many video fingerprints have been developed. Video fingerprints should be robust from various video transformations and have high discriminative powers. In general, video fingerprints are generated from three feature spaces such as luminance, gradient, and DCT coefficients. However, there is a few study for the robustness and discrimination according to feature spaces. Thus, we analyzed the property of each feature space by video copy detion task with the robustness and the discrimination of video fingerprints. We generated three video fingerprints from these feature spaces using a same algorithm. In our test, a video fingerprint. based on DCT coefficient outperformed others because the discrimination of it was higher.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