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도시의 공원녹지는 지역 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다양한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경상남도 창원시에 거주하는 541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원녹지의 이용패턴과 주관적인 근린환경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사례지역에 대한 공원녹지의 접근성과 물리적 근린환경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은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횟수, 자가인식 건강수준, 그리고 체질량지수(BMI)와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거주지로부터 200m 이내에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출입구와 공원의 개수, 집 주변에서 운동하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거나,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운동시설이 많다고 느낄수록 신체활동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 주변 공원녹지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공원녹지의 개수가 많고, 면적이 넓을수록, 보행이 편리할수록, 공동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을수록 자가인식 건강수준(perceived health level)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로부터 400m 이내에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개수, 보행환경의 안전성, 공동주거지역의 비율, 도로비율, 교차로 밀도 등이 BMI와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공원녹지의 특성과 종속변수인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횟수 및 자가인식 건강수준 사이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수준 10% 이내에서 의미가 있는 회귀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공원녹지와 근린환경의 특성이 지역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의 이용을 증진하고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의 조경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이다. Urban Green space takes charge of the important role for the physical activity and promotion of health to the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try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and green space usage for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promo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information about patterns of green space usage and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s for the residents living in Changwon-si, Gyeongsangnam-do(n=541).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was used to construct spatial data about green space accessibility and physical neighborhood environments.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and physical activit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BMI(Body Mass Index).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residents' physical activities are positively and directly influenced by the number of available public parks and green spaces in the vicinity(<TEX>${\leq}200m$</TEX>). The frequency at which residents witness others exercising nearby or the perceived abundance of low-cost gym facilities also factor as positive influences. The closer to the park, the higher the number of parks and area of green spaces, the more comfortable the walk thereto and the denser the neighboring residential area distribution, the perceived health level was found to be the more positively influenced. Further, it was verified that BMI i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ublic parks and green spaces within 400 m of the resident's home as well as the safety of walkways, the density of neighboring residential areas, the ratio of road, and the density of crosswalk. The significant multiple regression model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and physical activities and perceived health level were extracted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10%.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the ways in which green space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available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plan aimed at improving the use of green space for physical activity and reducing obes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