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일본 소학교 학습지도요령에 나타난 액티브러닝 이용의 교육연극 현황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 으로 액티브러닝의 내용을 검토하고, 연극적 수법의 의의와 역할을 통해 교육연극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액티브러닝은 학생의 능동적인 행동을 이끌어 내는 유인으로 작용하였다. 액티브러닝은 발표나 표현의 능동적 행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표현에 서 듣기를 수동적 행동으로 여기는 경우가 있는데 듣기의 행동은 능동성 없이는 성립되지 않는다. 능동 적인 듣기와 듣는 것이라는 수동적 방법의 관계를 체험적으로 학습한다는 것이다. 액티브러닝교육이 연 극적 수법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능동성과 수동성의 호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이다. 이 균형은 연극적 수법을 극대화한다. 둘째, 액티브러닝에서 표현력은 서정적 표현이 중요하다. 표 현 속에 있는 타인에 대한 배려와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육성해야 자질로 중시되어 왔다. 그러나 액티브 러닝을 둘러싼 논의에서는 표현력을 서사적 표현과 서정적 표현으로 구별하여 후자를 육성하는 것을 경 시하였다. 이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교육연극의 연극적 기법이 액티브러닝의 표현력 문제에 새로운 시점을 제공하고 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