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설계안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삼정자동 555번지 일대에 건립예정인 부지의 면적 약 <TEX>$79,743.1m^2$</TEX>의 경상대학교병원 주변 옥외공간 설계의 기본계획안이다. 이 설계안의 목적은 환자의 회복과 일반 대중의 웰빙(well-being)을 돕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며 주변 환경을 존중하는 생태적인 공간을 조성하는데 있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세 가지 설계 목표가 설정되었는데, 첫 번째는 경관의 치유기능을 높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생태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경관을 조성하고, 세 번째는 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경관의 미적인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먼저 치유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주변의 양호한 수림대와 연계를 하고, 치유의 기능이 있는 식물재료를 선별하여 식재하고, 다양한 감각 치유원, 명상의 공간, 약초원 등 치유프로그램을 공간에 도입하였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병원의 공간조성에 있어서 환자의 프라이버시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대로 환자의 유형과 일반인들을 고려하여 공간과 동선을 구분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생태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소나무 숲과 지형을 보존하고, 부지내로 연장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자연 수체계를 복원하고, 그 물을 재활용하여 조경 등의 용수로 사용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용자의 미적인 체험을 위해서는 주변 상록수림에 대비하는 활엽수와 각종 초화류를 식재하여 계절감을 강화시키고, 열매가 열리는 수종을 배치하여 산새가 날아들고 동물이 찾아오는 "자연속의 치유공간"이라는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더불어 모든 공간과 시설물은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에 따라 계획 및 설계되어 환자들에게 장애물이 없는 환경을 제공하려 하였으며, 생태적이고 경제적이며 관리가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관리계획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th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Kyeongsangnam-do. The site is located at 555 Samjeongja-dong, Seongsan-gu, Changwon, Kyeongsangnam-do, and its area is approximately <TEX>$79,743.1m^2$</TEX>. The goal of the design was to create a landscape that helps the patients' recovery and public well-being as well as respec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ree design subjects were considered: maximizing the healing functions of the landscape, promoting ecologically regenerative landscape, and increasing the aesthetic value of the landscape based on the local context. For the healing aspect, first, therapeutic plants were carefully selected and various healing programs were introduced to the open space area such as the sensory garden, meditative space, the medicinal herb garden, outdoor acupressure treatment facilities, remedial playground etc.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patient's privacy is emphasized in research, the space and circulation pattern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For ecological consideration, the design proposed to preserve and extend the existing ridgeline with pine forest, and recover the natural water system and recycle the water for the landscape management.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people, in contrast to the surrounding evergreen forest, diverse deciduous and flowering plants were introduced to arouse a sense of the season, and fruit bearing trees for wildlife to create a specific mood of being in nature so that people can listen to the songs of the birds and watch squirrels play etc. In addition, all the spaces and facilities were designed and placed according to universal design principles so that there would be no barrier for the patients to use them. Also, a sustainable management scheme was suggested to maintain the landscape in ecological and economical way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