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방재공원 7곳의 공간입지, 공간구성 및 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일본의 방재공원계획 및 설계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한 분석의 틀로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향후 새로운 방재공원 조성에 있어 입지계획과 공간구성 및 시설 계획의 부문에 바탕이 되는 기초자료로서 그 목적이 있다.BR 방재공원의 공간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모든 대상지는 공원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피난광장의 조건에 적합하였으며 방재관련 시설공간도 피난광장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어 공간구성의 평가요인에 적합하였다. 또한 평상 시 공원 이용에 활용되는 퍼걸러와 안내판, 조명시설은 대부분의 방재공원에 설치되어 있었다.BR 도출된 문제점은 첫째, 급경사 및 좁은 골목의 공간입지로 인해 접근성이 결여되며, 진입구의 계단 및 높은 경계석과 펜스 설치로 인해 대피 시 신속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공원의 외곽에 방화수림대를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며, 방화수종을 고려하지 못한 일반적인 수종을 식재하였다. 셋째, 자가발전시설물, 내진성 수조, 기능형 및 가변형 시설물 등의 방재관련 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았다.BR 이를 통해 개선방향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방재공원의 계획 및 설계에 있어 도움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