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도시철도 역사 및 환승시설의 이용객 수용을 위한 규모가 미흡하여 극심한 혼잡상황이 반복됨에 따라 이용객의 불편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상상황 발생 시 이용객의 군집이동에 의한 대규모 사고가 예측되고 있다. 이에 환승시설 개선에 가장 효율적인 환승통로 폭에 대하여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설계지침의 환승통로 폭 산정식과 보행 서비스 수준(LOS)의 이론적 근거를 검토하고 환승통로 모의실험과 5개 역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보행환경 모의실험 결과 LOS E등급은 평균보행속도를 내기 어려우며 충돌을 피하기 위한 움직임이 빈번함을 알 수 있었고, 피난상황인 경우 대규모 참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환승통로의 LOS는 D등급으로 상향이 필요하다. 또한 LOS D, E등급에서 밀도 값의 범위가 큼으로 인하여 최대 및 최소 밀도로 산정되는 환승통로 폭의 차이가 최대 약 80%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로부터 설계지침의 통로 폭 산정 시 사용되는 설계요소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Congested situation owing to lack of metro station facility capacity has greatly intensified and repeated recently. Therefore, metro users suffer much inconvenience and large accidents due to the group walking in an emergency scare have been predicted and concerned. To suggest improved calculation method of transfer facilities PW (the width of passageway), the PW formula in the Design Guidelines and the theoretical basis of LOS (Level of Service) are reviewed. Also, the simula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field survey for five stations are conducted. It is observed that LOS E showed the difficulty going to the average walking speed and the movement frequently to avoid the collision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us LOS E offered by the guidelines needed the upward to LOS D in preparation for a large-scale disaster.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dths which is calculated based on the maximum and the minimum density of the same LOS grade is up to about 80% because the range of density values in the LOS D and LOS E is so great. Based on the results, the appropriate design factors used in calculation of the PW are provided.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