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심혈관질환 및 암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을 예방하는 식이성분 이소플라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대두 단백질에 포함된 성분으로서의 이소플라본의 효과에 관해서는 많은 검증이 되어왔지만 정제된 이소플라본 자체의 생리활성에 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이 있다. 특히 이소플라본의 지방감소 효과, 항산화작용등에 관해서는 질병 예방의 효과와 관련하여 규명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소플라본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하는 흰쥐와 일반식이를 섭취하는 흰쥐의 지질 패턴과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후 7주령 Sprague Dawley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대조군(basal diet, B), 이소플라본 보충군(B+Isoflavone, BI) 고콜레스테롤군(B+cholesterol, BC) 및 고콜레스테롤-이소플라본 보충군(BC+Isoflavone, BIC)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Two-way ANOVA를 실시하여 이소플라본과 콜레스테롤 보충효과 및 각 변수에 대한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VLDL+LDL 콜레스테롤, atherogenic index는 콜레스테롤 비첨가 군 중에서(B, BI) 이소플라본에 의해 유의하게 낮았지는 효과가 있었고(각 각 p=0.0002, p<0.0001, p=0.0042). 콜레스테롤 첨가군(BC, BIC)들을 비교했을 때는 VLDL+LDL 농도만이 이소플라본 첨가시(BIC)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T-SOD는 콜레스테롤 비첨가 군 중에서(B, BI) 이소플라본 첨가군(BI)이 비첨가군(B)보다 유의하게 높았고(각 각 p=0.0317) TAS는 콜레스테롤 첨가 여부와 관계 없이 이소플라본 첨가군(BI, BIC)이 비첨가군(B, BC)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01). 혈청 지질과산화, 총 항산화능, 항산화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소플라본과 콜레스테롤의 모든 효과는 각 각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이 혈청 지질패턴을 개선하고 항산화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심혈관계질환을 비롯한 만성퇴행성 질환을 예방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소플라본의 식이 첨가량에 따른 효과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potential of isoflavone in reduc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however, although several effects of isoflavone as a component of soy protein are well established, the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purified isoflavone are still controversial.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oflavone on serum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status in rats. 7-week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one of the following diets for 8 weeks: basal diet (B), basal+0.3% isoflavone (BI), basal+0.5% cholesterol (BC), or basal+0.3% isoflavone +0.5% cholesterol (BIC). Two-way ANOVA was used to test the effects of dietary isoflavone and cholesterol supplementation and their interaction on variables. Serum lipid profiles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were examined spectrophotometrically. Degree of serum lipid peroxidation was measured by malondialdehyde (MDA) assay. The activities of serum antioxidant enzymes (GSH-Px, total-SOD) was determined.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VLDL+LDL-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I than those levels in group B (p=0.0002, p<0.0001, and p=0.0042, respectively). Serum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isoflavone supplemented groups (BI, BIC) compared to those levels in each control group (B, BC) (p<0.0001). Activity of total-SO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I compared to the activities in group B (p=0.0317).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isoflavone and cholesterol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isoflavone supplementat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serum lipid profiles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in both conditions, either when fed a diet with or without cholesterol. These effects of isoflavone were independent of cholesterol supplement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