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J도 소재 3개 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303부의 설문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지료 분석은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신건강과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스트레스 정도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은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리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convergence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ith stress level and mental health as the parameters. The subjects wer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J province, and 303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data f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pathway analysis by SPSS and AMOS. As a result, addiction to smartphones showed negative (-) correlation with self-esteem,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while showing positive (+) correlation with stress level. In addition, the addiction to smartphones has an influence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ith stress level and mental health as the paramete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and manage addiction to smartphones, relieve stress and promote mental health.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