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온라인을 통한 교육 콘텐츠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이버대학 등 새로운 형태의 대학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사이버대학의 교육 콘텐츠는 오프라인 대학의 수업과 다소 상이한 모습을 지니며, 이에 따라 학습효과 제고를 위해서 여러 변인들이 새롭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의 구조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의 경우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경우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apid developmen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have made people learn with online contents allowing learning at onilne universities. The environments of offering educational contents at online universities differ from those at offline-based ones, so that alternative variables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effectiveness in online setting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SRL) and motivation o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n online university were addressed. As a result, SRL and motivation not only directly affected both interactions and achievements,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achievements via interactions. Also,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were directly effective on learning achievemen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ncluded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eaching- and learning-related variables on learning.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