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역사에서 문자보다는 그림, 색채가 의사소통에 훨씬 더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왔다. 특정 공동체에서 사용하는 색채어가 문화적으로 어떤 의미와 상징을 표현하는 지를 고찰한다면, 그 공동체만의 고유한 역사 문화적 토대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구전을 통해 오랫동안 유지되어온, 가장 원시적이고 본래적인 민족적 특성과 문화적 독특함을 보존하고 있는 구비문 학 작품을 대상으로 색채어의 상징을 연구한다면 헝가리의 고유한 민족성과 문화적 특색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헝가리 서사민요 작품에 사용된 색채어가 언어 이면에 품고 있는 내재적 의미를 찾아보면서, 특정한 색채가 헝가리 민족 공동체에게 불러일으키는 정서와 느낌을 분석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우선 헝가리 서사민요에 나타난 색채어의 빈도수를 조사한 결과 빨강, 노랑, 검정, 하양, 초록 순으로 나타났다. 빈도수가 높은 다섯 가지 색채어의 쓰임과, 그 색채어가 불러일으키는 상징을 찾아내고 숨겨진 의미를 도출해내었다. 각각의 색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피,희생, 보호, 정열을 의미하는 빨간 색은 가장 많은 경우에 사랑, 사랑하는 마음을 상징하고 있다. 노란 색도 사랑을 의미하지만 주로 무르익은 사랑, 이루어진 사랑, 더 나아가 부패하고 변질된 사랑을 상징한다. 하얀 색은 순수, 순결, 천상적인 힘을 드러내지만 부정적으로 쓰일 때는 죽음을 표현하는 색이다. 하얀 색은 검은 색과 함께 쓰이면서 선과 악, 지고한 정신과 더러운 정신의 대립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초록색은 봄, 시작, 부활을 알리는, 풍요와 생산을 도모하는 색이기도 하다. 헝가리 서사민요에 나타난 색채상징에 대한 연구가 완성된다면, 이어서 한국 구비문학의 색채상징과 비교 연구하여, 두 민족이 지닌 고유한 색채상징과 의미의 관계를 도출해 낼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를 통해 헝가리와 한국의 구비문학에 나타난 색채상징을 비교함으로써 두 민족에게 동일한 색채가 드러내는 개별적이고 공통된 상징의 유무와 그 이유에 대해서도 논의를 확대해나가 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ext In the history of mankind, paintings and colors rather than letters mediated communication in that they were understood by all members of a community beyond age and generation. If we can find out what means and symbolizes the special colors in one community, we can understand each community’s special cultural and historical basics. Orally transmitted literature preserves the most primitive and original ethnic characters and cultural uniqueness. I choose the hungarian folk ballad to study color symbols, and finally it is meaningful to find hungarian special ethnicity. This paper deals with color symbols to find a single, clear color symbolism by sorting meanings of a color in folk ballad. Among colors holding significance, colors of red, yellow, white, black, and green will be dealt in this paper, focusing on what they mean and symbolize. Study of basic colors will allow for comparative study of Hungarian and Korean color symbolism, and drawing of conclusion on the two ethnicities’ unique world view, thinking system, and psychology.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further study on color symbolism in Hungarian and Korean oral literature, providing a forum for discussion on two ethnicities’ unique or common symbolism.